■ 진행 : 변상욱 앵커 <br />■ 출연 : 이동훈 / 내과 전문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동훈 내과 전문의를 모시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[이동훈] <br />안녕하십니까. <br /> <br /> <br />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하니까 그럼 신종이고 그럼 기존에 있던 건 어땠기에, 신종과 기존에 있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대해서 설명을 비교해서 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동훈] <br />그러니까 다들 신종이라고 하니까 뭔가 새로운 거라고 생각하시는데요. 코로나바이러스는 사실 한마디로 말씀드리면 감기 바이러스의 하나입니다. 그러니까 처음 발견될 때도 1950년대 감기 바이러스를 찾아보는 과정 중에서 발견된 것이었고요. <br /> <br />처음에 감기 바이러스를 찾으면 감기 백신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. 그러면 우리가 겨울철에 감기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던 것이었는데요. 그래서 제일 먼저 발견된 게 콧물 바이러스, 독감 바이러스 이런 것들은 쉽게 발견이 됐었는데 코로나바이러스는 조직에서 잘 크지 않았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발견해서 규명하지 못했다가 1960년대 전자현미경이 발견되면서 전자현미경으로 바이러스를 직접 봤더니 이게 약간 뿔처럼 삐죽삐죽 튀어나온 게 마치 왕관처럼 생겼다 해서 영어로 코로나, 그래서 왕관형 바이러스다 이렇게 된 거고요. 다른 바이러스와 달리 콧물 바이러스 이런 게 아니라 왕관 그러니까 모양을 보고 지은 이름이고요. <br /> <br />이게 감기 바이러스라고 했잖아요. 수백 개의 감기바이러스 중에 하나이고 지금도 여러분들이 겪고 있는 기침, 가래, 고열로 병원에 오시는 분들 중에서 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있고요. <br /> <br />당장 2020년도 1월 10일 주간 호흡기 바이러스 분리검출 현황을 보시면 코로나바이러스가 6.7%로 나오고 있습니다. 그러니까 너무 놀라실 필요는 없죠. <br /> <br />그런데 문제는 바이러스들은 사람한테 적화된 바이러스이고 우리 인류도 역시 여기에 잘 대응하고 있는데 사람한테만 이 바이러스가 있으면 참 좋겠는데 동물에도 있습니다. 그래서 동물은 또 동물에서만 자라는데 이게 종 간 특수성이 있거든요. 이 종을 가끔 뛰어넘는 경우가 있나 봐요. <br /> <br />그런데 그렇게 되면 대개는 잘 못 견디나 봐요, 다른 종에 들어갈 때. 그런데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12819413503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